Example Image
팝업차단 해제하는 가장 쉬운 방법 (크롬부터 스마트폰까지 정리) ;
본문 바로가기

팝업차단 해제하는 가장 쉬운 방법 (크롬부터 스마트폰까지 정리)

갱이파파 발행일 : 2025-05-04

사이트가 멈춘 것처럼 보일 때, 원인은 팝업차단!

사이트에 접속했는데 아무 창도 안 뜨고 멈춘 것처럼 보인 적 있으셨죠? 보통 이럴 땐 브라우저에서 팝업차단이 설정되어 있어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특히 정부24, 홈택스, 은행 사이트나 온라인 시험 접수 페이지처럼 중요한 작업을 할 때 이런 상황이 생기면 굉장히 당황스럽습니다. 팝업이 차단되면 인증서 창, 신청서 창이 아예 뜨질 않기 때문에 꼭 설정을 바꿔줘야 해요.

오늘은 저도 직접 여러 번 겪었던 팝업차단 해제 방법을 크롬, 엣지, 스마트폰까지 나눠서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 팝업은 단순한 광고가 아니라, 우리가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서비스의 필수 기능일 때가 많다는 점을 꼭 기억해두시면 좋겠습니다.

크롬에서 팝업차단 해제하는 방법

제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브라우저가 크롬인데요. 팝업 해제는 아래 순서로 하시면 돼요.

먼저 오른쪽 상단의 점 세 개 아이콘을 눌러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거기서 [개인정보 및 보안] → [사이트 설정]을 차례로 눌러주세요.

그 안에 있는 [팝업 및 리디렉션] 메뉴를 누르면 기본값은 ‘차단’으로 되어 있을 거예요. 이걸 ‘허용’으로 바꿔주면 끝이에요.

만약 전체 허용이 부담스럽다면, 특정 사이트 주소(예: www.gov.kr)를 복사해서 ‘허용된 사이트’ 항목에 추가할 수도 있어요. 저는 정부24, 홈택스, 시험 접수 사이트들을 따로 추가해놓았는데, 덕분에 업무할 때마다 팝업이 막히지 않아 스트레스가 줄었어요.

이 설정은 한 번만 해두면 크롬이 기억해두기 때문에, 이후엔 매번 팝업 허용을 고민하지 않아도 돼요. 특히 반복해서 쓰는 사이트는 미리 등록해두는 게 훨씬 편리하답니다.

요약 정리

크롬은 [사이트 설정 → 팝업 및 리디렉션]에서 허용으로 변경해주면 됩니다. 전체 허용이 꺼려질 경우 사이트별로만 추가할 수도 있어요.

크롬 브라우저 팝업차단 해제 방법, 특정 사이트만 팝업 허용하기

엣지(Edge) 브라우저 팝업 허용 설정

엣지도 크롬과 비슷한 방식이에요. 저는 회사에서 엣지를 자주 쓰는데, 자주 까먹어서 설정 위치를 저장해뒀어요.

오른쪽 상단의 점 세 개 아이콘 → [설정] → [쿠키 및 사이트 권한]으로 들어가시면 [팝업 및 리디렉션]이라는 메뉴가 보여요.

여기서 ‘차단’으로 되어 있는 걸 ‘허용’으로 바꿔주거나, 크롬처럼 예외 사이트를 추가해주시면 돼요. 변경 후에는 브라우저를 껐다가 다시 켜야 적용이 되는 경우도 있어서, 저는 설정 바꾸고 나면 항상 새로고침하거나 창을 닫았다가 다시 열어요.

엣지는 윈도우10, 윈도우11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브라우저라 공공기관이나 기업용 사이트 최적화가 잘 되어 있어요. 그래서 업무용으로 엣지를 쓴다면, 처음부터 팝업 예외 설정을 세팅해두는 걸 추천드립니다.

요약 정리

엣지에서는 [사이트 권한 → 팝업 및 리디렉션]에서 설정을 바꿔야 하며, 중요한 사이트는 예외로 추가해두는 것이 좋아요.

엣지 브라우저 팝업 허용 설정

스마트폰(모바일) 팝업 허용 방법 (안드로이드/아이폰)

모바일에서 팝업이 막히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아요. 특히 스마트폰으로 민원 처리나 웹사이트를 열 때, 팝업창이 아예 안 뜨면 화면이 멈춘 것처럼 보여요.

안드로이드의 경우, 크롬 앱을 실행한 후 오른쪽 점 세 개를 눌러 [설정] → [사이트 설정]으로 들어가세요. 그 안에 [팝업 및 리디렉션] 항목이 있어요. 꺼져 있다면 '허용'으로 바꿔주세요.

아이폰은 사파리를 주로 쓰잖아요? 설정 앱 → Safari 항목으로 들어가면 [팝업 차단]이라는 스위치가 있어요. 이걸 꺼주시면 팝업이 허용됩니다.

모바일 환경은 특히 민감해서 앱 내 웹뷰에서는 팝업 설정이 별도로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저는 중요한 작업은 웬만하면 모바일 브라우저가 아닌 PC로 하거나, 모바일 크롬 앱을 직접 실행해서 처리하고 있어요.

요약 정리

안드로이드는 크롬 앱 내 설정, 아이폰은 설정 앱의 Safari 항목에서 팝업 허용을 변경할 수 있어요. 앱 내 웹페이지는 별도로 설정이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드로인드 스마트폰 팝업 허용 방버, 아이폰 사파리 팝업 허용 설정

사이트별 팝업 허용이 꼭 필요한 경우

팝업을 무조건 차단하면 보안상은 좋을 수 있지만, 실제론 업무에 더 지장을 줄 때가 많아요.

예를 들어 정부24, 민원24, 홈택스, 각종 시험 접수 사이트, 심지어 은행 사이트도 대부분 인증서 로그인, 신청서 확인, 출력 등에서 팝업을 사용해요. 이걸 차단해두면 서비스 이용 자체가 안 됩니다.

그래서 저는 아예 주요 사이트는 따로 주소를 복사해서 브라우저의 '허용 목록'에 미리 등록해두고 있어요. 처음엔 번거롭지만 한 번만 해두면 계속 편하더라고요.

특히 공공기관 웹사이트는 보안이 강화된 환경에서만 작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팝업이 제대로 허용되지 않으면 인증 자체가 막히는 일이 생기곤 해요. 이 점 때문에라도 주요 사이트는 반드시 예외 등록을 추천드려요.

요약 정리

팝업이 없으면 인증서나 신청서 확인이 안 되는 사이트들이 많습니다. 꼭 자주 쓰는 사이트는 팝업 허용으로 등록해두세요.

꼭 팝업 허용이 필요한 사이트들

결론

팝업창 하나 때문에 사이트 기능이 먹통이 되는 상황, 생각보다 자주 발생해요. 하지만 오늘 알려드린 설정 방법대로 따라 하시면 1~2분 안에 해결할 수 있어요.

특히 크롬, 엣지, 스마트폰 설정만 잘 익혀두면, 앞으로 어떤 사이트를 접속하든 당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사용 중인 기기의 설정에 들어가서 팝업 허용 상태를 확인해보세요. 단 1분이면 해결되고, 중요한 업무도 매끄럽게 이어갈 수 있어요.

지금 바로 설정을 확인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