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ample Image
다래끼 짜면 안 되는 이유 (고름 짰다가 더 심해지는 5가지 위험) ;
본문 바로가기

다래끼 짜면 안 되는 이유 (고름 짰다가 더 심해지는 5가지 위험)

갱이파파 발행일 : 2025-04-21

다래끼를 짜면 안 되는 5가지 이유

다래끼가 올라오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합니다. "그냥 짜버리면 빨리 낫지 않을까?" 눈꺼풀 안쪽이 부풀고 고름처럼 보이면 손이 먼저 가기 마련이죠. 그런데 이 행동, 정말 괜찮을까요?

다래끼는 피부 겉에 생긴 여드름과는 전혀 다릅니다. 눈꺼풀에는 피지선과 혈관, 신경이 밀집돼 있어 섣불리 건드리면 오히려 염증이 퍼지거나 더 심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다래끼를 짜다가 고름이 주변으로 번지거나, 눈 전체가 붓고 통증이 심해져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래끼를 짜면 안 되는 이유를 5가지로 정리하고, 짜지 않고 빠르게 낫는 대처법까지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1. 짜면 세균이 퍼져 염증이 커진다

다래끼를 짜는 순간, 눈 안쪽의 고름이 피부 속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특히 다래끼는 외부로 터지는 것처럼 보여도 대부분은 안쪽 조직에 염증이 잡혀 있는 상태입니다.

  • 고름이 피부 안으로 퍼지면 주변 조직까지 감염될 수 있고,
  • 이 과정에서 염증 범위가 넓어져 붓기와 통증이 심해집니다.

눈꺼풀은 다른 피부보다 얇고 민감하기 때문에, 자극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한 번의 잘못된 자극이 염증을 빠르게 번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염증이 더 커집니다

2. 감염으로 인해 고름이 재발하거나 악화됨

한 번 짜서 고름이 빠졌다고 해서 끝나는 게 아닙니다. 짜는 과정에서 고름이 완전히 빠지지 않으면, 오히려 더 단단하게 뭉치거나 다시 커지면서 재발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합니다.

  • 국소 마취 후 고름을 제거
  • 소독과 항생제 처방 병행
  • 재발 방지를 위한 생활 관리 안내

이처럼 의료진은 ‘짜는 것’이 아닌 ‘치료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자가로 짜는 건 단기 해소는 될 수 있어도, 결국 문제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는 행위입니다.

특히 동일 부위에 반복적으로 다래끼가 생기는 경우, 무리하게 짰던 경험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재발과 악화 위험

3. 손이나 기구를 통한 2차 감염 위험

다래끼를 짤 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위생’입니다. 손이나 면봉, 심지어는 바늘이나 핀셋 등을 사용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 도구들이 제대로 소독되지 않았다면, 외부 세균이 눈꺼풀을 통해 침투할 수 있습니다.

  • 감염 부위가 넓어질 경우 붓기와 발열이 동반될 수 있고,
  • 심하면 봉와직염이나 결막염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

눈 주위 피부는 얇고 모세혈관이 밀집해 있어, 세균이 퍼지는 속도도 빠릅니다.
특히 아이들이 다래끼를 짜거나, 부모가 손으로 눌러주는 경우엔 감염 확률이 더 높아질 수 있으니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2차 감염 위험

4. 시력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염증

드문 경우지만, 다래끼를 잘못 짰다가 안와(눈 주위 공간)까지 감염이 번지는 사례도 있습니다. 안와 감염은 시신경을 눌러 시야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시력 저하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고름이 눈 안쪽으로 터지면, 단순한 결막염이나 피부염 수준이 아닌 ‘응급안과질환’으로 악화되는 경우도 있으니 절대 가볍게 여겨선 안 됩니다.

눈은 뇌와 가까운 기관이기 때문에, 감염이 전신으로 번질 위험성도 항상 존재합니다.
‘그냥 짜버릴까?’라는 선택이 예상보다 더 위험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시력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5. 짜는 행동이 반복되면 습관화 → 만성화 가능

문제는 ‘한 번쯤 짜봤는데 괜찮더라’는 경험이 생기면, 다음에도 반복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이 습관이 쌓이면, 눈꺼풀 안쪽 피지선이 손상되고 만성 다래끼(산림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산림종은 단단한 혹처럼 만져지며,
  • 겉으로는 통증이 없어 보여도 안쪽 염증은 계속 유지됩니다.
  • 치료를 위해선 수술로 제거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국 다래끼를 반복해서 짜는 행동은, 짧은 고름 제거보다 훨씬 큰 대가를 치르게 되는 셈입니다.
눈 주변 조직은 한 번 손상되면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자극 자체를 줄이는 게 핵심입니다.

만성화 위험

결론

눈꺼풀에 고름이 잡히면 누구나 빠르게 해결하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눈은 절대 자가 치료로 다뤄선 안 되는 민감한 기관입니다.

  • 다래끼가 올라오면 손대지 말고,
  • 온찜질을 통해 순환을 도우며,
  •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

이게 가장 빠르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다래끼는 짜면 끝이 아니라, 짜는 순간부터 시작되는 문제입니다.
눈은 짜는 부위가 아니라, 지켜줘야 할 부위입니다.”

‘지금 참는 것이 내일의 건강을 지킨다’는 말처럼, 이 작은 선택이 눈 건강의 미래를 바꿀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조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