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ample Image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2 Page) ;
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124

평생교육바우처 사용처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평생교육바우처' 저소득층의 자기 계발을 장려와 삶의 질 향상 및 자아실현, 경제적 격차에 따른 교육 격차를 완화하려는 성인을 위한 지원 사업입니다. 연간 1인당 35만원이내의 전자 바우처를 제공하는데 학점취득교육(학점은행제 등), 지자체 평생학습관,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평생교육 바우처 사용기관으로 등록된 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바우처로 발급을 받기 때문에 카드를 신청해야 사요을 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대부분의 상품이 바우처로 지원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원대상 및 선정기준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준중위소득 65% 이하) 성인 만 19세 이상 등록 장애인(장애인복지법 제2조 근거) 중 3,000면 지원 (단, 신청규모가 예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경제이야기 2024. 2. 4.
디딤씨앗통장(아동발달지원계좌)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아동발달지원계좌 혹은 디딤씨앗통장은 보호대상아동과 기초생활수급가구 등 저소득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이다. 취지는 취약계통 아동의 사회 진출을 할 때 빈곤을 되물림되는 일을 줄이기 위해 초기비용을 마련할 수 있게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사업인데, 그냥 돈을 지원해 주는 것이 아닌 아동이나 후원자가 5만 원을 저축하면 나라는 10만 원까지 1:2의 비율로 지원을 해주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자산은 사회에 진출을 하게 될때 의료비, 주거비, 취업훈련비, 학자금 심지어 창업이나 결혼비용 등 여러 가지 방면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지원대상 올해부터는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의 연령·소득기준이 크게 확대되었다. 작년까지 중위소득 40% 이하, 12~ 17세 의 연령을 제한으로 신규가입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중위소.. 경제이야기 2024. 2. 2.
2024년 농어민 공익수당 신청 대상 및 신청하는 방법 전남도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농어민 공익수당'은 농어촌이 보유한 공익적 가치를 유지·증진하고 농어업인의 자긍심 고취와 지속가능한 농어촌 발전을 위해 2020년에 도입이 되었는데, 올해도 역시 '농어민 공익수당'을 지급하는데 1년 중 아무때나 신청하는 것이 아닌 신청기간이 따로 정해져 있다. 1월 15일 부터 2월 23일 까지가 신청 기간이다. 농어임업인 기본소득 안정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이다. 신청 대상 ◎ 2023년 1월 1일 이전부터 전라남도에 주소지를 두고, 경영체를 등록하여 농어업 및 임업에 종사하고 있는 경영주 ◎ 농어업 외 종합 소득이 3,700만원 이상 ◎ 직불금 등 보조금 부정수급/ 공무원 및 공공기관 임직원 ◎ 농어민 공익수당 지급 대상 경영주와 실제 거주를 .. 경제이야기 2024. 1. 25.
초등학교 입학준비금 지원 신청 방법 알아보기 (feat.부산광역시/남구) 이번에 부산광역시 남구청에서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신입생에게는 입학준비금을 준다고 합니다. 출산율이 떨어진다고 이것저것 지원해 주는 게 늘어나는 것 같던데 이제는 초등학교 입학준비금도 받을 수 있게 되었네요. 그래서 오늘은 이 준비금을 받는 방법 와 자격, 지원방법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입학준비금 지원 대상 및 신청 자격 지원대상 - 2023년 3월 2일 현재 남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초등학교 1학년 신입생 1인당 30만 원 ※학교 이외의 교육기관에 입학하는 학생 (초등과정 1학년 신입생) 즉, 등본을 발급하였을 때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부산광역시 남구에 등록이 되어있어야 지원 대상에 해당이 됩니다. 신청 자격 - 대상자의 부모 및 보호자 등 입학준비금 신청 방법 및 신청 기간 신청기간 - 202.. 경제이야기 2023. 10. 7.
기준중위소득 50%? 150%? 그게 뭔데? 기준중위소득 환산방법 알아보기 생계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소득기준이 중위소득 30% 이하여야 한다, 교육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중위소득 50%이하여야 한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렇다면 이 중위소득은 무엇일까? 기존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위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 전체 소득을 전체 가구수로 나누어 얻는 평균소득과 달리,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 가운데 중간에 해당하는 수치로, 소득계층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흔히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중위소득의 50%~ 150% 범주를 중산층으로 간주하는데, 한국에서는 2015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령에 따라 최저생계비의 대체개념으로 사용되었으며 가종 복지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이됩니다. 2023년 기준중위소득표 가구수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 경제이야기 2023. 8. 25.